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슈가인포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슈가인포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61)
    • 세법 (61)
    • 아로마테라피 (0)
    • 겨울스포츠 (0)
    • 생활정보 (0)
  • 방명록

2024/01 (38)
세법개론(8) 소득세법(4) 사업소득

세법개론(8) 소득세법(4) 사업소득 1. 사업소득의 범위 '사업소득'이란 일정한 사업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말한다. 여기서 '사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자기의 계산과 책임 하에 계속적. 반복적으로 행하는 사회적 활동을 말한다. 따라서 사업소득은 ①영리목적성, ②독립성, ③계속. 반복성을 그 특징으로 하며, 사업소득이 있는 거주자를 '사업자'라고 한다. 현행 소득세법은 사업소득이 발생하는 사업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1) 농업(작물재배업은 제외).임업 및 어업 2) 광업 3) 제조업 4) 전기.가스.중기 및 수도사업 5) 하수. 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6) 건설업 7) 도매 및 소매업 8) 운수업 9) 숙박 및 음식점업 10)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11) 금융 및..

세법 2024. 1. 16. 22:43
세법개론(7) 소득세법(3)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세법개론(7) 소득세법(3)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1. 이자소득 1.1 이자소득의 범위 이자소득이란 해당과세기간에 발생한 다음의 소득을 말한다. ① 국가.지방자치단체.내국법인.외국법인이나 외국법인의 국내지점 또는 국내영업소에서 발행한 채권 또는 증권의 이자와 할인액 ② 국내 또는 국외에서 받는 예금의 이자 ③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른 상호신용계 또는 신용부금으로 인한 이익 ④ 환매조건부 채권.증권의 매매차익 ⑤ 저축성보험의 보험차익 ⑥ 직작공제회 초과반환금 ⑦ 비영업대금의 이익 ⑧ 위 ①~ ⑦과 유사한 소득으로서 금전 사용에 따른 대가로서의 성격이 있는 것 ⑨ 위의 이자소득을 발생시키는 거래.행위와 파생상품이 결합된 경우 해당 파생상품의 거래.행위로부터의 이익 1.2 비과세 이자소득 다음의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세법 2024. 1. 16. 20:40
세법개론(6) 소득세법(2)

세법개론(6) 소득세법(2) 1.2 납세의무자 1. 납세의무자의 구분 : 거주자와 비거주자 소득세의 납세의무자는 과세소득을 얻은 개인인데, 이는 다음과 같이 거주자와 비거주자로 구분된다. ① 거주자 :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년 이상 거소를 둔 개인으로 국내원천소득과 국외원천소득 모두에 대해서 소득세 납세의무를 진다(무제한납세의무) ②비거주자 : 거주자가 아닌 개인으로 국내원천소득에 대해서만 소득세 납세의무를 진다(제한납세의무) (1) 주소의 판정기준 주소는 국내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및 국내에 소재하는 자산의 유무 등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에 따라 판정한다. 그 구체적인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국내에 주소를 가진것으로 보는 경우(거주자) ①계속하여 1년이상 국내에 거주할 것을 통상 필요로 하는 ..

세법 2024. 1. 16. 00:09
세법개론(5) 소득세법(1)

세법개론(5) 소득세법(1) 1.1 소득세의 의의와 과세원칙 소득세는 자연인이 얻은 소득에 대하여 그 자연인에게 부과되는 조세이다. 본래 소득세는 법인소득세와 개인소득세로 나누어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법인소득세를 '법인세'라 하고 개인소득세만을 '소득세'라 부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행 소득세법은 몇 가지 과세원칙에 입각하여 제정되었는데, 그 주요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과세소득의 범위 : 소득원천설 현행 소득세법은 과세소득을 ①이자소득 ②배당소득 ③ 사업소득 ④ 근로소득 ⑤ 연금소득 ⑥ 기타소득 ⑦ 퇴직소득 ⑧ 양도소득의 8가지로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열거하고 있다. 따라서 법령에 구체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것은 비록 담세력 있는 소득이라 하더라도 과세되지 않는다(예컨대 일반적인 상장주식 또는..

세법 2024. 1. 15. 22:33
세법개론(4) 법인세법(1)

세법개론(4) 법인세법(1) 1.1 법인세의 과세소득과 납세의무자 1. 법인세의 과세소득 법인세는 법인이 얻은 소득에 대하여 그 법인에게 부과되는 조세이다. 본래 소득세는 법인소득세와 개인소득세로 나누어지는데, 우리나라 세법에서는 개인소득세만을 '소득세'라 하고 법인소득세는 단순히 '법인세'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법인세의 과세소득에는 ①각 사업연도 소득 ② 토지등양도소득 ③청산소득의 3가지가 있다. 각 사업연도 소득은 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익금총액에서 손금총액을 공제한 금액을 말한다. 이는 법인이 매 사업연도마다 얻은 이윤으로서, 가장 전형적이고 기본적인 법인세의 과세소득이다. 그리고 토지등양도소득은 법인이 일정한 토지 등(주택과 비사업용 토지를 말한다)을 양도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을 말한다. 이는 ..

세법 2024. 1. 15. 09:03
이전 1 ··· 4 5 6 7 8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자료상 관련법
  • 조세질서범
  • 조세포탈 가중처벌
  • 분류과세
  • 광역시세
  • 종합과세
  • 지방세 경정청구
  • 조세포털범
  • 원천징수
  • 압류제한
  • 강제적 징수절차
  • 고지유예
  • 조세조약
  • 조세의 포탈
  • 압류대상재산
  • 비거주자
  • 가산금
  • 분리과세
  • 재화의 수입
  • 분할고지
  • 조세포탈범 공소시효
  • 재화의공급
  • 지방세 기한후신고
  • 면세
  • 용역의 공급
  • 자가공급
  • 초과압류금지
  • 특별시세
  • 과세표준
  • 공소시효완성
more
«   2024/0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