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법개론(40)상속세(2) 1.2 상속세 과세가액의 계산 1. 총상속재산가액 (1) 상속재산의 범위 상속재산(피상속인이 유증 또는 사인증여한 재산 포함)에는 피상속인에게 귀속되는 재산으로서 금전으로 환산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물건과 재산적 가치가 있는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모든 권리를 포함한다. 다만, 피상속인의 일신에 전속하는 것으로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하여 소멸되는 것은 제외한다. 총상속재산가액 = 민법에 따른 상속재산 + 유증재산 + 사인증여재산 + 의제(추정)상속재산 (2) 상속의 의제 본래 상속재산이 아니더라도 일정한 재산은 이를 상속재산으로 간주하여 상속세를 과세한다. 그 취지는 사망으로 인해 재산이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 그 형식이 상속,유증 또는 사인증여가 아니라 할지라도 ..

세법개론(39)상속세(1) 1. 부의 무상이전에 대한 과세체계 (1) 부의 무상이전의 유형과 개념 상속세와 증여세는 부의 무상이전에 대해 부과되는 조세이다. 부의 무상이전은 상속,증여 등의 형태를 취하는데, 그 개념은 다음과 같다. 증여세과세 (1) 증여 - 그 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 형식,목적 등과 관계없이 재산을 타인에게 직접 또는 간적적인 방법으로 무상으로 이전(현저히 저렴한 대가로 이전하는 경우 포함)하는 것 또는 기여에 의하여 타인의 재산가치를 증가시키는 것 상속세과세 (2) 유증 - 유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상으로 타인(수유자)에게 주는 단독행위 (3) 사인증여 - 증여자의 생전에 증여계약을 맺었으나 그 효력은 사망후에 발생되는 경우 (4) 상속 - 사망하거나 또는 실종선고를 받은 자(피상..
- Total
- Today
- Yesterday
- 조세포탈 가중처벌
- 강제적 징수절차
- 자가공급
- 고지유예
- 가산금
- 조세질서범
- 지방세 기한후신고
- 과세표준
- 비거주자
- 조세포탈범 공소시효
- 지방세 경정청구
- 조세포털범
- 분할고지
- 종합과세
- 재화의공급
- 광역시세
- 재화의 수입
- 용역의 공급
- 자료상 관련법
- 조세의 포탈
- 면세
- 분류과세
- 분리과세
- 특별시세
- 공소시효완성
- 초과압류금지
- 압류대상재산
- 조세조약
- 원천징수
- 압류제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